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영화 리뷰4

꽃잎 2030세대가 봐야 할 5·18 영화 1996년 개봉한 영화 『꽃잎』은 장선우 감독이 광주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남긴 강렬한 메시지이자, 5·18을 체험하지 못한 세대가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대의 영화입니다.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서, 개인의 정신과 감정 속에 각인된 국가 폭력의 잔혹함을 섬세하게 담아내며, 지금의 2030세대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울림을 줍니다.2030세대가 ‘꽃잎’을 봐야 하는 이유지금의 2030세대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책이나 뉴스, 다큐멘터리를 통해 배워왔습니다. 하지만 활자와 기록만으로는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꽃잎’은 5·18이라는 거대한 역사적 사건을 한 소녀의 시점으로 축소하여, 감정과 트라우마의 언어로 전달합니다. 이는 단순히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산 사람의 고통.. 2025. 5. 7.
박하사탕 광주와 서울, 도시가 남긴 상처 1999년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박하사탕』은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개인의 기억과 공간을 통해 그려낸 수작입니다. 광주와 서울이라는 도시 배경은 단지 배경이 아니라, 인물의 내면을 규정짓고 그 상처를 증폭시키는 결정적 요소로 기능하며, 한국 사회의 집단 기억을 조망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광주, 기억의 단면이 된 도시『박하사탕』의 주인공 김영호는 1980년 광주에서 신참 군인으로 복무하며 결정적 변화를 겪습니다. 그가 겪은 트라우마는 영화 전체의 정서와 인물의 붕괴를 지배하며, 광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 상처가 응축된 공간으로 기능합니다.광주는 단순한 사건의 배경이 아닙니다. 이창동 감독은 이 도시를 통해 한국 사회가 감추고 싶어 하는 기억, 즉 집단적 트라우마를 드러냅니다. 김영호는 광주에서의 .. 2025. 5. 6.
하녀(1960년 김기영 감독) 리뷰|지금 다시 보는 명작 김기영 감독의 영화 '하녀'(1960)는 한국영화사에서 가장 독보적인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습니다. 당대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계급, 욕망, 인간 심리를 치밀하게 파헤친 이 영화는 시대를 초월해 여전히 강렬한 메시지를 던집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하녀'의 줄거리, 핵심 장면 분석, 관심 있게 봐야 할 상징들, 그리고 영화사의 역사적 의의를 심층적으로 다루어봅니다.'하녀' 줄거리와 작품 전반 소개'하녀'는 평범한 중산층 가정에 침입한 한 하녀로 인해 가족이 붕괴해가는 과정을 그린 심리 스릴러입니다.주인공 동식은 음악 선생으로, 아내와 두 아이와 함께 안정된 삶을 꾸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집안일을 돕기 위해 고용된 하녀(이은심 분)가 점점 가족 안에 파고들며 사건이 벌어집니다. 하녀는 동식과 불륜 관계를 맺.. 2025. 4. 30.
음악과 감성이 살아있는 한국영화 리뷰|OST와 감정선을 잇다 한국영화는 스토리와 연출뿐만 아니라, 음악을 통해 감정을 극대화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줍니다. OST는 단순한 배경음악을 넘어, 영화의 감성선을 따라 흐르며 인물들의 감정, 서사의 전환, 그리고 주제를 더욱 선명하게 만들어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음악이 특히 빛났던 한국영화들을 선정해, 각 작품이 어떻게 음악과 감정을 조화롭게 엮어냈는지 심층적으로 리뷰합니다.'봄날은 간다': 잔잔한 선율로 전하는 이별의 감정故 허진호 감독의 대표작 '봄날은 간다'(2001)는 한국 멜로영화의 교과서로 불립니다. 이 영화에서 음악은 단순한 삽입곡이 아니라, 인물들의 감정을 조용히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특히 '봄날은 간다'의 메인 테마곡은 서정적인 기타와 오보에 선율이 중심을 이루어, 봄날의 따뜻함과 이별의 쓸쓸함을 동.. 2025.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