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 영화 명작3 밀양, 시대를 앞서간 문제작 – (용서,고통,종교) 2007년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은 단지 한 여인의 비극적인 이야기로 그치지 않습니다. 이 작품은 용서와 신앙, 인간의 이중성과 감정의 복잡함에 대한 날카로운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개봉 당시에도 큰 논란과 찬사를 동시에 받았던 『밀양』은, 2024년 현재에 다시 봐도 여전히 불편하고, 동시에 꼭 필요한 질문들을 던지는 영화입니다.용서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 밀양이 던진 윤리적 난제『밀양』에서 가장 강렬한 순간은, 주인공 신애(전도연)가 아들을 잃은 고통 속에서 신앙을 통해 다시 일어서려 할 때입니다. 그러나 그녀가 마주한 현실은, 가해자가 이미 신에게 용서받았다고 선언하는 충격적인 장면입니다.신애가 가해자를 찾아가 용서의 말을 전하려 하지만, 오히려 가해자는 편안한 얼굴로 “하나님이 이미 나를 .. 2025. 5. 9. 꽃잎 2030세대가 봐야 할 5·18 영화 1996년 개봉한 영화 『꽃잎』은 장선우 감독이 광주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방식으로 남긴 강렬한 메시지이자, 5·18을 체험하지 못한 세대가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대의 영화입니다. 단순한 역사 재현을 넘어서, 개인의 정신과 감정 속에 각인된 국가 폭력의 잔혹함을 섬세하게 담아내며, 지금의 2030세대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울림을 줍니다.2030세대가 ‘꽃잎’을 봐야 하는 이유지금의 2030세대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책이나 뉴스, 다큐멘터리를 통해 배워왔습니다. 하지만 활자와 기록만으로는 체감하기 어렵습니다. ‘꽃잎’은 5·18이라는 거대한 역사적 사건을 한 소녀의 시점으로 축소하여, 감정과 트라우마의 언어로 전달합니다. 이는 단순히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산 사람의 고통.. 2025. 5. 7. 박하사탕 광주와 서울, 도시가 남긴 상처 1999년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박하사탕』은 한국 현대사의 격동기를 개인의 기억과 공간을 통해 그려낸 수작입니다. 광주와 서울이라는 도시 배경은 단지 배경이 아니라, 인물의 내면을 규정짓고 그 상처를 증폭시키는 결정적 요소로 기능하며, 한국 사회의 집단 기억을 조망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합니다.광주, 기억의 단면이 된 도시『박하사탕』의 주인공 김영호는 1980년 광주에서 신참 군인으로 복무하며 결정적 변화를 겪습니다. 그가 겪은 트라우마는 영화 전체의 정서와 인물의 붕괴를 지배하며, 광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적 상처가 응축된 공간으로 기능합니다.광주는 단순한 사건의 배경이 아닙니다. 이창동 감독은 이 도시를 통해 한국 사회가 감추고 싶어 하는 기억, 즉 집단적 트라우마를 드러냅니다. 김영호는 광주에서의 .. 2025. 5. 6. 이전 1 다음